KATECH 이재관 본부장 “사회·산업·개인 모두가 변화해야”

[테크월드=양대규 기자] 완전 자율주행이 이뤄지는 시기는 언제쯤이 될까? 2030년에 완전 자율주행이 일상화될 것이라고 말하는 기업과 전문가들의 분석이 언론을 통해 자주 보도된다. 일부는 2025년이라며, 불과 10년도 남지 않은 기간에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자동차부품연구원 이재관 본부장은 이들과 다른 견해를 보였다. 그는 11월 30일 킨텍스에서 열린 ‘소재부품 미래전망 포럼’에서 ‘자율주행차 산업적 대응 방안’을 발표하며, “일부 언론이나 전문가들이 낙관적인 기대로 완전 자율주행이 곧 이뤄질 것처럼 말하고 있지만, 현실은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자동차부품연구원 이재관 본부장

이 본부장은 반 농담조로 “내가 죽기 전에 완전 자율주행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하며, 발표를 통해 완전 자율주행 시장 상황을 냉철하게 분석했다. 그는 “현재 일부 자율주행은 개발되고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사람의 조작 없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완전 자율주행’이 실제 도로에서 이뤄질 시점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재관 본부장은 “자율주행차 상용화는 사회적·산업적·사용자 수용성이 중요하다”며, “완전 자율주행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세 가지 수용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많은 난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적으로는 정부의 법과 규제, 정책, 기술 표준 등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도로와 ICT 인프라 제공자의 협조가 있어야 한다. 산업적으로는 기업, 기술공급자, 대학, 공공연구원 등의 통합적인 연계가 필요하며, 기업이 기대하는 수익도 보장해야 한다. 

운전자·탑승자·보행자 등 사용자의 수용성도 중요하다. 자율주행 시대의 운전 관습과 책임이 지금과는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나쁜 운전습관과 스스로 실력을 과신하는 운전자들의 습관도 빠르게 고치기 힘든 부분이다. 소비자들의 욕심도 완전 자율주행 도입의 장애 요소 중 하나다. 소비자들은 좋은 제품을 싸게 얻고 싶어 하지, 좋은 제품이라도 쉽게 큰돈을 지급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재관 본부장은 EPoSS(업계주도의 유럽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 협의체)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시장전망에 R&D 단계를 산업화 단계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며,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을 경계했다. EPoSS의 자율주행차 로드맵에 따르면, 고속도로 주행의 경우 2025년, 시내 주행은 2030년에 미국자동차공학회(SAE) 레벨 기준 레벨4의 고도 자율주행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완전 자율주행을 뜻하는 레벨5가 실제 생활에 구현될 구체적인 시기는 ‘미정’으로 남겨뒀다.

또한, 이 본부장은 “자율주행이 이슈가 되는 이유는 융합사업으로 먹거리가 많이 창출되는 사업이기 때문”이라며, “영국과 일본의 경우 각각 77조 원과 109조 원의 수익이 창출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우리도 두 나라의 경우와 비교하면 38조 원의 먹거리가 생겨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단순한 기술개발이 아닌 실증 기반의 안정성과 사업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